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

분리분석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분리분석(separation analysis) 물질 상호 간에 나타나는 물리화학적 친화도의 상대적인 차이에 근거를 두어 마련된 분석 기법을 활용한다. 초기의 분리분석법들은 실제 분석에서 시료의 전 처리 단계(분석 대상 성분을 다른 성분들로부터 분리)로만 활용되어 왔으나, 다양한 기능을 가진 검출기들이 개발되어 부착되면서 독립적인 분석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분석 대상 성분 그리고 분석 대상 성분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성분들을 함유한 시료 용액은 고정상(주어진 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물질)과 접촉하면서 진행하게 되는 이동상(주어진 공간을 이동하면서 고정상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물질)에 실려 흐르면 용액 속의 각 성분들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의 차이(각 성분들이 이동상과 고정상에 대하여 나타내는 친화도의 상대적인 .. 2022. 3. 4.
기기분석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분광학적 방법(spectrometric method) 물질과 전자기 복사(electromagnetic radiation, emr) 사이의 상호 작용을 활용하며, 물질에 따라 흡수 또는 방출하게 되는 전자기 복사의 종류가 다르고, 흡수(absorption)나 방출(emission)되는 전자기 복사의 양은 물질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정량적인 정보)에 근거를 둔 분석법이다. 입자성과 파동성을 모두 소유하고 주어진 매체나 공간을 통과하는 경우 그 공간이나 매체에 존재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으며 진행하는 에너지의 한 형태를 지칭한다. 가장 큰 에너지를 소유한 우주선으로부터 시작하여 에너지가 감소하는 순서로 감사선, X-선, 진공 자외선, 자외선(UV), 가시광선, 근 적외선, 적외선, 원 적외.. 2022. 3. 4.
화학 분석법의 종류 무게 분석(gravimetric analysis or gravimetry) 1. 침전법(precipitation method)에 의한 무게 분석 분석 대상 성분을 함유한 시료 용액에 그 성분과 신속하고 완전하게 화학 양론적인 침전 반응을 진행할 수 있는 성분(침전제)을 함유한 용액을 섞어주어 원하는 형태의 침전을 얻는다. 얻어진 침전은 익힘이나 묵힘 등의 과정을 통하여 바람직한 침전(고르게 큰 입자들로 이루어진 침전)으로 바꾸어 준 후, 거름 작업을 통해 침전을 모액(상청 액)으로부터 분리해 낸다. 분리한 침전은 적절한 세척제를 사용하여 세척한 후, 건조 작업을 통해 침전에 묻어 있는 제척제 용액을 제거한다. 이때 단순한 건조 작업에 의해 말릴 수 없거나 공기 중에서 불안정한 침전의 경우에는 강열(또는 .. 202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