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석 화학

분리분석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by kiki12 2022. 3. 4.

분리분석(separation analysis)

물질 상호 간에 나타나는 물리화학적 친화도의 상대적인 차이에 근거를 두어 마련된 분석 기법을 활용한다. 초기의 분리분석법들은 실제 분석에서 시료의 전 처리 단계(분석 대상 성분을 다른 성분들로부터 분리)로만 활용되어 왔으나, 다양한 기능을 가진 검출기들이 개발되어 부착되면서 독립적인 분석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분석 대상 성분 그리고 분석 대상 성분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성분들을 함유한 시료 용액은 고정상(주어진 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물질)과 접촉하면서 진행하게 되는 이동상(주어진 공간을 이동하면서 고정상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물질)에 실려 흐르면 용액 속의 각 성분들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의 차이(각 성분들이 이동상과 고정상에 대하여 나타내는 친화도의 상대적인 차이)에 따라 각각 이동상과 고정상에 머무르는 시간이 달라진다. 결국 각 성분들이 주어진 공간을 이동하는 속도에는 차이가 생기며, 결국 서로 분리되고 각 성분의 양이 결정된다. 이동상이 액체이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 LC), 기체인 경우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로 분류한다.

 

<종이 크로마토그래피(paper chromatography)>

종이(고체상) 위에 혼합물 용액을 점적(점의 형태로 위치시킴) 후, 적절한 전개 용매(이동상)에 종이를 담근다. 전개 용매는 종이를 따라 위쪽으로 진행하고 그 과정에서 혼합물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종이보다 전개 용매에 대한 친화도가 더 높은 물질들은 전개 용매를 따라 쉽게 이동하지만 종이에 대한 친화도가 더 큰 물질은 전개 용매와 함께 이동하는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혼합물을 구성하는 성분 물질들을 종이 위에 분리되어 나타난다. 종이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이동상이 액체이므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류된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에서 이동상은 고정상이 실려 있는 관으로 연속적으로 주입되는 용매를 지칭하며 시료 용액을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료 주입 밸브를 통해 주입된 시료 용액은 이동상에 의해 관 내부를 흘러 지나게 되고, 시료 용액 중 성분들도 함께 흐르며 고정상을 이루는 물질들과 비공유결합성 상호 작용을 경험한다. 성분들과 고정상 사이의 그러한 화학 작용에 의해 각 성분들의 이동 정도와 상호 분리가 결정된다. 즉, 이동상과의 상호 작용이 더 큰 성분들은 고정상과의 상호 작용이 더 큰 성분들에 비해 관에서 머무는 시간이 더 짧아(더 빠르게 이동하여) 더 빠른 속도로 관으로부터 용출(elution)되어 나온다. HPLC에서는 이동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시료 용액 속 성분들과 고정상 사이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예로, 이동상의 종류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 isocratic mobile phase: 조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동상
  • gradient mobile phase: 이동상은 혼합 용매이고 그중 유기 용매의 양이 일정 비율로 증가된다.

고정상은 관의 내부에 실리는 고체 지지체를 지칭하고 그 표면 위로 이동상이 흐른다. 관의 내부로 주입된 시료 용액 속의 성분들 중 고정상과의 화학 작용이 더 큰 성분은 머무는 속도가 더 길어지므로 다른 성분들에 비해 더 느리게 관으로부터 용출된다. 사용하는 고정상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Liquid-Liquid(액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고체지지체의 표면에 액체(약한 극성의 유기 용매)를 입혀 고정상으로 사용하며, 그러한 용매에 녹을 수 있는 극성이 그리 크지 않은 성분들의 분리에 사용한다.
  • Liquid-Solid(액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피: 일반적인 극성 고체지지체를 고정상으로 사용하며, 극성이 약한 성분들은 더 빨리 용출된다.
  • Size 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 다공성 물질을 고정상으로 사용하며, 고정상의 구멍 크기보다 더 큰 성분들은 구멍들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배척되므로 더 빨리 용출된다.· Normal Phase 크로마토그래피: 고정상의 극성이 이동상에 비해 더 크며, 소수성 성분이 친수성 성분보다 더 빨리 용출된다.
  • Reverse Phase(역상) 크로마토그래피: 고정상의 극성이 이동상에 비해 더 작게 하여 친수성 성분이 더 빠르게 용출된다.·
  • Ion Exchange(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고정상을 이루는 물질이 소유한 이온과의 이온 교환의 용이성에 근거하며, 이온 교환이 용이한 성분은 고정상에 오래 머물게 되어 더 느리게 용출된다.

'분석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기분석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1) 2022.03.04
화학 분석법의 종류  (0) 2022.03.04

댓글